본문 바로가기
건축

상가 건축의 핵심: 근린생활시설 신축을 위한 전문 지침서 - 실전편(2)

by 날아오르라 부자로 2024. 2. 2.

 

1. 평면계획-1

땅튀기까지 했으니 이제 평면 계획을 할 차례입니다.

컴퓨터 작업전에 이미 많은 생각과 스케치를 하고 도면화 작업을 합니다. 

수많은 파일을 열어보고 확인해보니 그래도 평면 변천 과정을 보여줄 수 있는 파일을 찾을수 있었습니다.  

 

앞 전에 말한 것처럼 대지가 작고 주거 지역이면 배치 위치가 거의 70%이상 정해집니다.

건축법에 적합하게 진행을 할려면 어쩔수 없이 정해지는 내용들이 있습니다.  

 

착한 사람한테만 보이는  6가지 그림에서 다른점은 코어의 형태 밖에 없습니다.

왼쪽은 주차장으로 고정이고 오른쪽은 코어가 갈수 밖에 없는 대지 입니다.

방위 때문인데 이건 전문적인 내용이라서 생략하겠습니다. 

 

2. 컨셉 다이어그램

 

 

자료중에 좋은게 있네요. 이미지나 계힉, 컨셉을 그림으로 표현 한것입니다.


 

그럼 그림을 보면서 간단히 설명을 하겠습니다. 

 

 

▶(1)번 계획은 가장 일반적인이고 평범한 계획입니다. 

    - 복도로 엘리베이터 까지 진입하는 방법인데 절대적인 단점이 존재합니다.

   

  - 단점 : 작은 땅에서는 저 엘리베이터 진입 복도조차 사치입니다.

              너무 아까운거죠!

   

 

 

 

▶ (2)번 계획은 (1)을 극복할려고 나오는 평면입니다. 

   - 계단참( 계단 중간 넓은 부분)에서 엘리베이터 진입을 할수 있는게 하는 방법       입니다.

     엘리베이터 진입 복도를 줄임으로써 계단 뒤쪽으로 공간구성이 다릅니다.?

 

 - 단점 : 하지만 결정적인 단점이 장애인 휠체어 접근 불가 입니다. 

 

    

 

▶ (3)번 계획은 1,2와는 다른 방향으로 접근한것입니다.

        (가) 지하 진입 계단 별도 설치  

        (나) 2층까지 직선 계단 설치 

        (다) 엘리베이터 외부 진입로 연결

   

 

 

 

-  장점 : 1. 접근성이 좋다

             2. 채광이 가능하다

               * 지하층 임대를 하는 입장에서는 최고의 장점입니다. 

  - 단점 : 1. 실내공간이 줄어든다

 * 이건 사실 건축주 입장에서는 아주 마이너스한 사항입니다.

 실내공간이 줄어든다는건 그만큼 임대가격이 줄어든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 평면 변천 과장 ]

 

▶(4)번 계획은 과정중 나온 안으로 좋은 안은 아닙니다. 

설명 패스 ㅋㅋㅋ

 

 

 

 

 

 

 

▶(5)번 계획의 가장 큰 특징 엘리베이터가 전면으로 배치

    앞의 평면들이 엘리베이터가 뒤쪽에 배치가 되면서 접근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면으로 배치됩니다. 

 

-  장점 : 1. 엘리베이터와 계단 접근로의 공간 최소화 

              2. 장애인 휠체어 접근 용이

-  단점 : 건축법적인 내용으로 깊게 들어가기 때문에 pass~~~

 

 

▶(6)번 5번의 계단 형태를 좀 더 재미있게 변경한 형태입니다. 

    저 계단형태는 저의 아이디어입니다. (깨알 자랑ㅎㅎ)

    지금 공사중인 코어형태입니다. 

 

  * 이때는 몰랐습니다.

  * 저 계단이 악마의 계단일줄은...

  * 저 계단때문에 제가 한동안은 욕을 입에  달고 살았습니다.

    

 

 


하나의 평면이 완성되기까지 많은 과정을 거쳐 수정하고 다듬는 과정을 거쳐 하나의 평면이 만들어집니다. 

작은 건물도 저런데 큰것들은 어떨까요...?

미치는거죠.

볼때마다 달라보이고, 

그다음날 와서 보면 그전 작업이 엉망이고,

그래서 다시 수정하고,

수정하고,

또 수정하고

완성이 끝이 아니라 시간이 완성을 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렇해 코어가 결정이 되면 그다음 부터는 큰 문제 없이 진행되는게 근린생활시설(상가 건물)입니다. 

위로 올라가면서 건축법 및 기타 규정에 적합하게 적용만 하면 문제 없이 평면이 만들어 집니다. 

건축은 사실 엄청 많은 분야의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저 위 평면만 봐도 엘리베이터를 설치할려면 엘리베이터 규격과 높이와 속도와 체크 해야 하는 사항이 많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진행중 협의 과정에서 조건이 몇가지 있었습니다. 

 

그중 조건 중 하나가 장애인도 편의 고려 입니다.

 

그래서 계획중 반영된 내용이 엘리베이터, 화장실, 출입문입니다. 

 

1. 엘리베이터 - 장애인 휠체어 탑승가능한 최소 크기가 있습니다.

                         최소 13인승 규격입니다. 

                         그 이하는 휠체어 탑승이 어렵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13인승은 상당히 큰 엘리베이터입니다. 

                         하지만 크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장점이죠

 

2. 화장실 - 휠체어 접근가능한 크기 적용

                  법적으로 휠체어 사용가능 화장실 규격은 2000*1800정도 입니다.

                  흔희 볼수 있는 장애인 화장실 크기입니다. 

                  실제로 들어가보면 상당히 넓게 되어 있죠,

                  휠체어가 들어가서 활동을 해야하기 때문에 공간이 크게 형성됩니다.

                  그래서 이프로젝트에서는 화장실이 남여 구분이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3. 출입문 - 자동문 입니다. 

                - 손으로 밀고 들어가는 문이 아닌 유리 자동문입니다.

                - 터치하나로 열리니깐 장애인이 쓰기에는 아주 좋습니다. 

 

휠체어사용에는 2cm턱만 있어도 이동에 불편함이 있다고 합니다.

일반인에게는 2cm 는 별로 인지를 못할 정도이지만 장애를 가지신 분들에게는 아주 큰불편함을 느끼게 되는것입니다. 

 

대부분의 건축설계를 업으로 하시는 분들이 공감을 할 거라고 생각하는데,

장애인 규정은 건축설계를 하면서 참 힘들게하는 부분중에 하나 입니다.

많은 이야기를 할 수는 없지만, 공감은 가지만 100%이해하기 힘든 부분입니다. 

 


다음편에서는 전체 평면 구성을 이야기 하려 합니다. 

사실 평면은 그렇해 크게 할 이야기가 없습니다.

별거 없습니다. 

단지 왜 저렇해 밖에 될수 없는지를 설명하는 것 정도로 정리 할려고 합니다. 

 

상가 건축의 핵심: 근린생활시설 신축을 위한 전문 지침서 - 실전편(3) - 평면계획2를 기대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