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동산이란?
민법 제99조(부동산, 동산) 토지 및 그 정착물은 부동산이다.
* 정착물 : 토지에 부착된 물건
한국에서 재산 증식의 방법으로 1순위는 부동산투자이다. 부동산 만큼 수익성이 좋은 투자법은 없다고 한다.
그만큼 많은 이들이 부동산투자로 성과를 내고 있다. 부동산투기 인것이다.
집, 땅, 건물 모든 것들이 부동산투자이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2. 한국의 국토면적은 얼마나 될까.?
- 한국의 면적은 100,378㎢ 세계 107위
- 북한의 면적은 123,138 ㎢ 세계 97위
- 한반도(남한+북한) 면적은 223,516 ㎢ 전세계 253개국 중 85위
한국과 유사한 면적을 가진 나라는 어디일까.?
영국(243,610km²),
가나(238,533km²),
루마니아(238,391km²),
라오스(236,800km²),
벨라루스(207,600km²) 등이 있다.
(참고로 세계 1위 러시아, 2위 캐나다, 3위 미국, 4위 중국, 5위 브라질, 일본 61위)
3. 한국의 인구는 얼마나 될까.?
2022년 기준 KOSIS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 한국의 인구수는 51,628,117 세계 29위
- 북한의 인구수는 26,160,821 세계 54위
(참고로 1위 인도 약1,428백만명 17.8%, 2위 중국 약1,425백만명 17.7%, 3위 미국 , 4위 인도네이사, 5위 파키스탄, 일본12위)
인도와 중국 인구만으로 전세계 인구의 35%네요.
4. 국토별 인구 밀도
- 한국의 인구 밀도는 16위 511(명/km²)
- 북한의 인구 밀도는 50위 212(명/km²)
(참고로 1위 모나코 17,409, 2위 싱가포르 8,107, 3위 바레인, 4위 몰타, 5위 방글라데시, 일본29위)
5. 한국과 유사한 면적을 가진 나라의 인구 밀도는 ?
- 영국(243,610km²) 278 (명/km²)
- 가나(238,533km²) 135 (명/km²)
- 루마니아(238,391km²) 79.8 (명/km²)
- 라오스(236,800km²) 32 (명/km²)
- 벨라루스(207,600km²) 44.6 (명/km²)
위에서 보듯이 한국과 비슷한 국토 면적을 가진 나라들의 인구밀도만 보더라도 한국이 압도적으로 높다.
한국 전체 국토면적의 64%가 OECD국가중 산림률 4위의 어마어마한 산악국가이다
국토면적의 2/3가 산지인데, 인구 밀도는 세계16위이다. 어마어마한 수치이다.
소유별로 국토를 구분하면
국유지 25.5%
개인 50%
공유지 8.4% 비율이다.
(나머지 16.1%를 뭐지????)
위 통계에서 보듯이 아주 최악의 조건이다.
이전 글에서 말 했듯이 우리의 주거 문화가 아파트가 될 수 밖에 없는 객관적 수치다.
그래서 한국의 재산 증식 방법 1위가 부동산이 될 수 밖에 없다.
6. 2023년 ~ 2024년 부동산전망
2023년을 지나 2024년
" 부동산 시장은 최악이 될 수도 있다."
2003년 부동산시장은 변동성이 매우 컸다.
23년초 집값 상승에 따른 아파트시장은 급등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정부의 부동산 대책으로 규제완화로 안정을 찾아가는 듯하였으나. 부동산 시장은 급격한 침체의 길로 걸어갔다.
주택 거래량, 전월세가격, 매매가격, 등 거의 전국 단위로 부동산이 하향세를 보인다.
또한 이런 부동산 침체기에 기름을 붇는 듯한 사건사고가 일어났다.
개인 또는 차명의 다수가 수십에서 수백채의 주택으로 사기사건이 일어나 전국적으로 큰 화제가 되었으며 현재까지 그 피해는 보상이 되지 않고 있다.
2023년 공급과잉, 금리 인상, 강원도 프로젝트(PF사태)로 부동산 개발이 멈췄고, 건설기업이 회사채로 인하여 부도가 나기 시작했다
이런한 상황에서 2024년 부동산 전망은 어떻해 예측하고 있을까.?
2004년 부동산 시장은 공급량 축소가 예측되며, 각 기업들의 자산관리 능력이 중요해 질 수 밖에 없는 한해가 될 것이다.
그로 인하여 2024년 예측된 아파트 입주 계획 물량은 2023년 대비하여 3만 3,520가구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과잉공급과 금리인상으로 인하여 수요가 줄어들고 있지만. 분양가가 내려가지는 않을 것이다.
원자재 가격이 올라가면서 아파트 분양가는 더 치솟을 전망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한 2024년 부동산 침체기가 예측 되는 가운데 고자산가들은 여전히 부동산을 투자방법으로 선호하고 있다.
부동산 투자 대상 중 가장 선호하는 것이 아파트이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정부 정책과도 맞물리는 점이 있다.
각종 부동산 규제 완화와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 및 제약이 풀었졌기 때문이다.
이런 정책을 바탕으로 아파트 실 거래가격이 떨어지면서 고자산가 입장에선 투자대상으로 아파트가 1순위가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러시아 우크라 전쟁,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전쟁, 전국의 부동산 버블, 경제 침체로 인하여 주식시장은 하향세를 걷고 있다.
이런한 현상속에서 고자산가들은 주식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부동산 가격의 하락세를 틈타 부동산으로 향한 관심이 더욱 커지는 현상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우리는 이런한 경제현상 속에서 어떻해 대처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깊게 생각하고 행동해야 할 것이다.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경제와 지식산업센터 (0) | 2024.02.12 |
---|---|
건축 외장재의 변화요인 (0) | 2024.02.09 |
"도시 속 나만의 천국: 내 아파트 이야기" (0) | 2024.02.06 |
상가 건축의 핵심: 근린생활시설 신축을 위한 전문 지침서 - 실전편(5) (0) | 2024.02.05 |
상가 건축의 핵심: 근린생활시설 신축을 위한 전문 지침서 - 실전편(4)- 입면 계획 (2)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