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

"도시 속 나만의 천국: 내 아파트 이야기"

by 날아오르라 부자로 2024. 2. 6.

 

 

노원구에는 도시 속 나만의 천국이 있다.

아침에 눈을 뜨고 저녁에 눈을 감을 수 있는 공간이다. 

대부분이 그렇듯 아파트라고 부르는 곳이다. 

이제 만 3년째 살고 있는 우리집은 1308세대가 모여 있는 대단지 아파트다.

우리가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주거형태가 아파트 일 것이다. 

작은 땅에 많은 사람이 살수 있는 획기적인 주거 시스템이다. 

특히 인구 밀집밀도가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우리에게는 이보다 더 좋은 주거 시스템은 없다. 

그런 아파트이지만 단점도 많이 존재 한다. 

이번에는 내가 살고 있는 주거시스템 아파트를 이야기 하려고 한다. 


1. 아파트란 뭘까...?

우리가 아파트라고 말하는 이것은 무엇일까.?

 

네이버 국어사전에서는

"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 5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가구가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이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럼 건축법에서는 뭐라고 정의 되어 있을까.?

건축법에서는 아파트를  "주택으로 쓰는 층수가 5개 층 이상인 주택" 이라고 정의 되어 있다."

 

건축법에서 정의 하고 있는 아파트는 공동주택이라는 큰 카테고리에 들어있는 주택 종류 중 하나다. 

 

2. 대한민국의 아파트 이야기

한국의 아파트는 산업화 및 도시화와 함께 등장 했다.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갑작스러운 인주 밀집으로 인하여 도시(서울)에 주택 부족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온 해결책 중 하나가 아파트였다.

 

그럼 대한민국 최초의 아파트는 무엇일까? 

1. 1932년 서울 서대문구에 지어진 유림아파트

2. 1956년 행촌아파트

3. 1958년 서울 성북구 종암아파트

4. 1962년 마포아파트

    : 마포아파트가 우리나라 최초 단지형 아파트이며, 오늘날 단지형 아파트의 효시다. 

[ 마포아파트 출처 : 한국토지주택공 ]  

 

계단식 구조와 수세식화장실, 난방은 연탄으로 단진형 아파트로 임대아파트다.  

Y자형 6개동 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당시에는 아파트는 돈없는 서민들이 사는 곳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1970년 총 총 주택수가 443만3천여 채 중 0.77%가 아파트인걸 생각하면 지금과는 정 반대현상이다. 

 

3. 대한민국 아파트는 얼마나 될까.?

-2021년 기준 전국 아파트 수는 1,194만 8,544호이다. 

이는  전국 주택수의 63.5%를 차지하고 있다.

아파트는 건축법상 공동주택에 포함되는 주거형태이며, 공동주택에는 아파트, 다세대주택,  연립주택을 포함하여 공동주택이다.

아파트,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모두 합치면 전체 주택수의 78.3%까지 늘어난다. 

대부분의 국민은 공동주택에 살고 있으며, 그중 60%는 아파트에 살고 있다고 보면된다.

 

1) 주택종류별 구성비 

[참조: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통계청) ]

 

위 표에서 참고 표에서 보듯이 아파트의 비율은 꾸준하게 늘었다.

개인적으로 우리나라에는 공동주택보다 더 적합한 주거 형태는 없을 것이다. 

과거 우리나라 아파트를 보고 성냥갑 세워놓은거 같다고 비아냥 거린적도 있지만 대인은 없는 같다. 

 

2) 시도별 아파트 비율

[ 통계청 : 2022 인구 주택 총조사보고서 ]

 

전국 아파트 비율은 64.0% 1,227만호 이다. 

예상가 다르게 서울이 가장 많을 줄 알았는데 세종이 가장 많다 .

제주가 가장 적다.

(참고로 제주도 아파트 신축 이야기도 할게 있습니다. 많이 아픈 이야기인데 기다려주세요.)

 

4) 전국 아파트 분양가 

한국주택협회 주택통계정보에 따르면 2023년 12월말 기준, 최근 1년간 전국에서 신규로 분양된 민간 아파트 단위면적당( ㎡)당 평균 분양가격은 5,261천원, 

- 전국 분양가격지수는 전원대시 1.51%상승, 전년동월대비 12.29%상승함.

- 전국 민간아파트 신규 분양세대수

  최근 1년(23/01~23/12월) : 123,799(월평균 10,317세대), 23/12월 : 17,397세

[ 한국주택협회 주택통계정보]

5) 서울 아파트 분양가

2023년 12월말 기준, 최근 1년간 서울에 신규로 분양된 민간아파트 단위면적당 ( ㎡) 평균 분양가격은 10,590천원

- 서울 분양가격지수는 전원대비 2.36% 상승, 전년동월대비 17.36%

  최근 1년 ( 23/01~23/12월) : 7,748세대(월평균646세대), 23/12월 : 128세대

[ 한국주택협회 주택통계정보]

 

4. 변화하는 아파트

최근 1~2인 가구의 증가, 분양가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인하여 소형면적의 아파트 수요가 확대 되고 있다.

과거 85(㎡)이하 33평형이 인기가 많았다고 하면 최근에는 59(㎡)이하 25평형으로 이동하고 있다. 

 

1) 전용면적 60㎡이하

[ 한국주택협회 주택통계정보]

 

소형아파트라도 발코니 확장시 내부 공간을 확보 할 수 있고, 공간 효율을 극대화한 평면 설계가 다수 개발 되어 트렌드가 더 바뀌는데 일조한거 같다. 


그런 59㎡이 "도시 속 나만의 천국: 내 아파트 이야기" 이다.

내가 살고 있는 아파트 조감도 이다. 1308세대 85㎡, 74㎡, 59㎡ 3가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다. 

85㎡이 남향 가장 좋은 위치 그다음 74㎡,  그다음 59㎡이다.

지하3층~지하25층 대단지이다.

 

앞으로 "도시 속 나만의 천국: 내 아파트 이야기"가 펼쳐질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