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15

건축경제와 지식산업센터 1. 지식산업센터란? 지식산업센터란 아파트형 공장입니다. 공장이라 하면 단층의 넓은 공장을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공장을 고층건축물에 공장용도의 업들이 들어오는 집약체입니다.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13에 의하면 "지식산업센터"란 동일 건축물에 제조업,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산업을 영위하는 자와 지원시설이 복합적으로 입주할 수 있는 다층형 집합건축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말한다. 동일 건축물에 제조업,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산업을 영위하는 자와 지원시설이 복합적으로 입주할 수 있는 다층형 집합건축물로 6개 이상의 공장이 입주할 수 있는 건축물입니다. 2. 지식산업센터의 등장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하며, 경제의 서비화와 산업의 지시기반화 추세로.. 2024. 2. 12.
건축 외장재의 변화요인 건축 외장재의 변화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다양한 요인들로는 1. 기술의 발전, 2. 환경 문제 3. 디자인 트렌드 4. 자원 가격 5. 기후변화 등 다양합니다. 아래에 몇 가지 주요한 변화 요인과 최근의 트렌드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1. 기술의 발전 : 건축 외장재의 기술 발전은 주로 재료 과학 및 제조 기술의 진보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대 외장재는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합성 재료를 사용하거나, 표면 처리 기술을 통해 날씨에 강한 성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3D 프린팅 기술이 건축 재료의 혁신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은 건축 외장재의 다양성과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2. 환경 문제 : 환경 문제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2024. 2. 9.
"2024부동산 시장의 현황과 건설업 경기전망" 1. 부동산이란? 민법 제99조(부동산, 동산) 토지 및 그 정착물은 부동산이다. * 정착물 : 토지에 부착된 물건 한국에서 재산 증식의 방법으로 1순위는 부동산투자이다. 부동산 만큼 수익성이 좋은 투자법은 없다고 한다. 그만큼 많은 이들이 부동산투자로 성과를 내고 있다. 부동산투기 인것이다. 집, 땅, 건물 모든 것들이 부동산투자이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2. 한국의 국토면적은 얼마나 될까.? - 한국의 면적은 100,378㎢ 세계 107위 - 북한의 면적은 123,138 ㎢ 세계 97위 - 한반도(남한+북한) 면적은 223,516 ㎢ 전세계 253개국 중 85위 한국과 유사한 면적을 가진 나라는 어디일까.? 영국(243,610km²), 가나(238,533km²), 루마니아(238,391km.. 2024. 2. 9.
"도시 속 나만의 천국: 내 아파트 이야기" 노원구에는 도시 속 나만의 천국이 있다. 아침에 눈을 뜨고 저녁에 눈을 감을 수 있는 공간이다. 대부분이 그렇듯 아파트라고 부르는 곳이다. 이제 만 3년째 살고 있는 우리집은 1308세대가 모여 있는 대단지 아파트다. 우리가 가장 많이 살고 있는 주거형태가 아파트 일 것이다. 작은 땅에 많은 사람이 살수 있는 획기적인 주거 시스템이다. 특히 인구 밀집밀도가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우리에게는 이보다 더 좋은 주거 시스템은 없다. 그런 아파트이지만 단점도 많이 존재 한다. 이번에는 내가 살고 있는 주거시스템 아파트를 이야기 하려고 한다. 1. 아파트란 뭘까...? 우리가 아파트라고 말하는 이것은 무엇일까.? 네이버 국어사전에서는 " 공동 주택 양식의 하나. 5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 2024. 2. 6.